오늘 하루도 생각 없이 밥을 먹다가 평소에 보이지 않던 밥알에 쌀눈이 보였는데, 제 글을 읽어 주시는 분들은 평소 밥알에 쌀눈이 있는지 주위 깊게 보시나요? 갑자기 쌀눈을 얘기를 꺼낸 건 쌀에 주 성분은 쌀눈에 있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은 밥 힘!”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주식은 쌀로 밥을 지어 먹는데, 수확한 벼를 건조시켜 탈곡 후에 왕겨를 벗긴 상태를 현미라고 합니다. 다시 현미를 도정을 하면 백미로 바뀌는데 도정 방법에 따라 쌀눈의 양이 차이가 납니다. 쌀눈이 차지 하는 영양소 비중이 무려66%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럼 현미를 먹으면 되겠네!”라고 생각을 하실 꺼 같습니다. 하지만 현미는 겉면은 코팅하듯 둘러 쌓여 있는 과피층이 외부의 수분을 억제하여 밥 짓기가 어렵고 소화율을 떨어트립..
식자재 기행
2019. 2. 28. 08:41